라인 넘버를 추가하면 코드 블록 왼쪽 부분에 해당 코드가 몇 번째 줄의 코드인지 숫자로 표시되어 보기 편해집니다. 또 코드를 지칭할 때도 몇 번째 줄인 지 번호만 말하면 되므로 편해집니다. 라인 넘버는 highlightjs-line-numbers.js를 이용하여 적용합니다. 라인 넘버를 적용시키면 위처럼 보이게 됩니다.
기본 티스토리 코드 블록에서는 코드가 한 줄로 너무 길어지면 줄 바꿈을 해서 보여줍니다. 이 설정은 코드를 한눈에 볼 때는 편할 수 있지만, 코드의 전체 구조가 흐트러져 보기 불편할 때도 있습니다. 스크롤 바를 추가해서 티스토리 코드블록 줄바꿈을 없애고 코드가 옆으로 길어질 때 스크롤바를 움직여서 보게 할 수 있습니다. 스크롤바를 추가하면 위와 같이 보입니다.
code {
white-space: pre;
max-width: 860px;
overflow: auto !important;
}
블로그 관리 → 스킨 편집 → HTML 편집에 들어가 CSS탭을 열어줍니다 그 후 위 코드를 복사해 넣어줍니다. 코드의 뜻은 다음과 같습니다.
white-space : pre; : 공백을 그대로 표시한다는 뜻입니다.
max-width: 860px; : 가로 최대 길이를 설정합니다. 이 길이가 넘어가면 스크롤이 만들어집니다. 티스토리 글에서 가로 최대폭이 860px이라 이렇게 설정했습니다.
overflow: auto !important; : 앞서 설정할 길이보다 넘어설 경우(overflow) 스크롤이 생기게 하는 코드입니다. !important를 넣어 가장 높은 우선순위로 적용됩니다.
복사 버튼은 누르면 안의 코드가 복사되는 버튼입니다. 티스토리 블로그에서는 보통 복사 금지를 걸어놓을 때가 많습니다. 그래서 코드가 있어도 복사를 못하게 될 때가 많습니다. 그럴 때 clipboard.js를 이용한 복사 버튼을 위와 같이 달아 놓으면 해결할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복사 버튼을 이용하면 복사했을 때 출처 표기가 뜨지 않기 때문에 편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