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프로젝트 개요
- 프로젝트 이름 : 폐가 탐험대
- 프로젝트 목표 : 전국의 폐가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웹사이트를 개발, 폐가 탐험을 원하는 사용자 간의 만남을 지원
프로젝트 목표
- 핵심 목표: 사용자가 전국에 있는 폐가의 위치 정보를 손쉽게 찾을 수 있도록
- 부가 목표:
- 폐가의 특징을 태그로 분류해 정보를 더 쉽게, 검색을 더 쉽게
- 구글 아이디로 로그인 후 커뮤니티 활동
- 사용자들이 함께 폐가 탐방할 사람을 모집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
주요 기능
1차 기능 (MVP)
- 폐가 위치 정보 제공: 전국의 폐가 위치를 지도에 표시하고, 검색 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지역의 폐가를 찾을 수 있습니다.
2차 기능 (추가 기능)
폐가 정보 제공
- 태그 시스템: 각 폐가에 대해 사용자들이 특징을 태그로 추가할 수 있도록 하여, 폐가의 상태, 안전, 접근성, 분위기 등을 설명. 태그를 이용해 폐가를 필터링해 찾을 수도 있음.
- 사진 추가 : 폐가 사진들을 모아둬서 볼 수 있음
- 최근 소식 추가 : SNS나 커뮤니티에 올라온 최근 소식들을 모아서 볼 수 있음
- 리뷰 : 사용자가 리뷰를 적어둘 수 있음
- 자동 업데이트 : 정부 공공데이터 포털에서 자동 업데이트?
커뮤니티 기능
- 구글 아이디 로그인 : 구글 아이디를 통해 간편하게 회원가입 및 로그인을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
- 정보 공유 게시판 : 폐가 탐방에 필요한 정보들을 자유롭게 나눔
- 탐방 모집 게시판: 사용자가 폐가 탐방을 함께 할 사람들을 모집할 수 있는 게시판을 제공. 해당 게시판에 올라온 내용은 지도 옆에도 뜨게 됨.
- 구매 게시판 : 폐가 탐방에 필요한 물건들을 구매?(쿠팡 파트너스?) 공동구매?
타겟 사용자
- 폐가 탐방 애호가 : 폐가 탐방에 관심이 많고, 전국의 폐가 정보를 얻고 싶은 사용자.
- 도시 탐험가 : 특별한 장소를 탐험하는 데 관심이 있는 사용자.
- 사진작가 및 아티스트 : 폐가의 독특한 분위기를 촬영하거나 예술 작업에 활용하고자 하는 사용자.
기술 스택
프론트엔드:
HTML, CSS, JavaScript
React 또는 Vue.js (선택 가능)
Google Maps API (지도 기능 구현)
백엔드:
Node.js (Express.js)
Firebase (인증 및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
Firestore (NoSQL 데이터베이스, Firebase 연동)
인증:
Firebase Authentication (구글 아이디 로그인 구현)
기타 도구:
Git (버전 관리)
Figma 또는 Adobe XD (UI/UX 디자인)
프로젝트 일정
기획 및 설계 단계 (1주):
요구 사항 정의
UI/UX 디자인
기술 스택 확정
개발 단계 (3주):
프론트엔드 및 백엔드 개발
Google Maps API 연동
Firebase 인증 및 데이터베이스 연동
테스트 및 디버깅 (1주):
기능 테스트
사용자 피드백 반영
배포 및 유지보수 (1주):
웹사이트 배포
초기 사용자 피드백 수집 및 개선
리스크 및 해결 방안
지도 API 사용량 초과:
Google Maps API 사용량이 초과할 경우, 다른 지도 API(예: OpenStreetMap)로의 전환을 고려.
개발 기간 지연:
핵심 기능 우선 개발, 추가 기능은 후속 업데이트로 진행.
보안 문제:
사용자 데이터 보호를 위해 SSL 인증서 적용 및 Firebase 보안 규칙 설정.
향후 확장 가능성
모바일 앱 개발: 웹사이트의 기능을 모바일 앱으로 확장하여 접근성을 높입니다.
커뮤니티 기능 추가: 사용자들이 폐가 탐방 경험을 공유하고, 리뷰를 작성할 수 있는 커뮤니티를 개발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