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리눅스 소개
리눅스란?
- 리누스 토발즈에 의해 만들어진 운영 체제
- 자유 소프트웨어와 오픈소스 개발의 가장 유명한 표본
- GNU 프로젝트 일환
GNU 프로젝트란?
- Gnu is not Unix
- 유닉스 운영체제를 여러 회사에서 각자 개발하며 소스코드를 공유하지 않는 문화에 대한 반발로 생김
리눅스의 구조
- 하드웨어 : CPU 등...
- 커널 (kernel) : 하드웨어 제어 관리자
- 셸 (shell) : 명령어 해석해 커널에 전달 (bash, csh)
- 응용 프로그램
리눅스의 특징
- 유닉스 기반
- 멀티 유저 멀티 태스킹
- CLI 및 GUI 모두 지원
- 다양하고 강력한 네트워킹 : 서버 OS로 적합
리눅스 종류
- 우분투 : 주로 개인 사용자
- 페도라 : 사용자 인터페이스 좋음,
- 라지비안 : 라즈베리파이에서 자주 쓰임
- 안드로이드
패키지로 구분 (응용프로그램을 이미 빌드한 상태 따로 컴파일 필요 없음)
패키지 형식 | 패키지 관리자 | 운영체제 이름 | |
레드햇 | .rmp | yum | CentOS |
페도라 (Fedora) | |||
데비안 레드헷 | .deb | Apt | 우분투 (Ubuntu) |
리눅스 민트 | |||
라즈비안 | |||
안드로이드 | .apk | Android Package Manager | 안드로이드 OS |
리눅스 활용분야
- 네트워크 서버 장비 : 라우터, AP
- 라즈베이파이 : 임베디드, IoT
- Tv 셋톱박스, 정밀 의료기기, 블랙박스
- 안드로이드
- 리눅스 관련 개발 서버
- 개인 PC
우분투 소개
우분투란?
- 데비안 GNU/Linux 기반으로 제작
- 가장 높은 인지도
- 데스크탑 환경을 사용하는 리눅스 배포판
왜 우분투?
- 개인용 pc에 최적화
- 간결하고 쉽다
- 많은 사용자, 커뮤니티
- 약 6개월 단위로 업데이트
우분투의 철학
- 아프리카의 반투어인 "우분투라는 말에서 파생
- "사람들간의 관계와 헌신에 중점을 둔 윤리사상
- 혹은 인본주의 사상으로 평화운동의 사상적 뿌리"
우분투의 인터페이스
GNOME 인터페이스
우분투의 버전 설명
정규 지원 버전
21.10
- 일년에 두번 새로운 버전을 공개
- 나온 년도와 달로 번호를 지정
- EX) 21.10 - 21년도 10월에 공개
- 보통은 18개월 업데이트 지원
LTS 버전 (장기 지원 버전)
22.04LTS
- Long Term Support의 약어
- 가장 안정적인
- 데스크탑 3년, 서버 5년 지원
반응형
'👾 유용한 도구들 > 리눅스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리눅스 셸 및 명령어 초간단 요약! (0) | 2022.09.11 |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