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HTML로 만드는 목록에는 순서가 있는(ordered) 목록과 순서가 없는 (unordered) 목록이 있다.
- 순서가 있는 목록은 <ol>, 순서가 없는 목록은 <ul>, 목록의 각 항목들은 <il> 태그를 이용한다.
- <ol> <ul>로 크게 감싸고, 안에다가 <li>로 항목들을 넣는 식이다.
<ul>, <li> - 순서 없는 목록 만들기
<ul>
<li>내용1</li>
<li>내용2</li>
</ul>
- ul = unordered list의 약자
- 순서가 없는 목록을 만들 때 사용
- 🐍 앞에 작은 원 같은건 불릿(bullet) : 모양은 css의 list-style-type 이용해 바꾼다.
- 🐍 사이트의 메뉴 등을 만들 때도 사용된다.
<ol>, <li> - 순서 없는 목록 만들기
<ol type="a" start="3" reversed>
<li>내용1</li>
<li>내용2</li>
<li>내용3</li>
</ol>
- ol = ordered list의 약자
- ul안의 li에 ol를 넣는 등 ol과 ul은 섞어서 쓸 수 있다.
속성 설명
- type : 숫자 세는 방식 바꾼다. 1, a, A, i, I 가능, 기본값은 1
- start : 시작 숫자를 바꿈
- reversed : 역순으로 표시
🐍 <dl>, <dt>, <dd> : 설명 목록 만들기
<dl>
<dt>제목1</dt>
<dd>설명1</dd>
<dt>제목2</dt>
<dd>설명2-1</dd>
<dd>설명2-2</dd>
</dl>
- 제목과 설명, 한 쌍으로 이루어진 목록
- 🐍 제목과 설명은 1:1로 한 쌍인게 좋다고 한다. 아니면 웹 표준에 어긋나고 SEO에 문제
반응형
'⭐ 코딩 기초 > HTML, C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이미지와 링크를 다는 HTML 태그들! (0) | 2022.09.20 |
---|---|
📝 표를 만드는 HTML 태그들! (0) | 2022.09.20 |
📝 텍스트를 표현하는 HTML 태그들! (1) | 2022.09.18 |
🖥️ HTML 인라인(Inline), 블록(Block) 비교하기! (0) | 2022.09.18 |
🖥️ HTML의 기본 문법 및 구조 훑어보기! (0) | 2022.09.17 |
댓글